의무보유확약은 공모주 투자에서 기관의 매도 가능 시점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빠르게 확약비율과 리스크를 확인하시려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의무보유확약이란?
의무보유확약이란 기관투자자가 배정받은 공모주 물량을 일정 기간 매도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제도입니다. 수요예측 과정에서 기관이 주식을 배정받기 위해 ‘보호예수 기간’을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그 비율과 기간이 상장일 공시됩니다.
확약 비율이 중요한 이유
공모주 청약 결과를 살펴볼 때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외에도 ‘확약비율’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확약비율이 30% 이상인 경우 안정적인 흐름을 기대할 수 있고, 20% 미만일 경우 오버행 리스크가 커집니다.
주요 확약 기간
확약기간 | 의미 |
---|---|
15일 | 상장 후 2주 뒤부터 매도 가능 |
1개월 | 상장 후 한 달 뒤부터 매도 가능 |
3개월 | 분기 실적 발표 후까지 보호 |
6개월 | 중장기 성장 신뢰 표현 |
실제 사례로 보는 영향
2025년 5월 공모주 사례인 ‘달바글로벌’은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24.24%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초기 매도 압력이 낮고, 주가 안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가 꼭 확인해야 할 포인트
- 확약비율이 높은지 확인
- 확약기간이 길수록 긍정적
-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낮은 공모주는 단기 하락 가능성에 유의
결론
의무보유확약은 기관이 해당 기업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투자자 입장에서는 공모주 청약 시 종목을 선별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상장 후 유통물량과 확약 해제 시점은 반드시 확인하고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